본문 바로가기
건강

미주신경성 실신 원인 및 증상과 치료

by 즈후 2023. 6. 8.
반응형

 

 

안녕하세요. 살아가면서 한번쯤은 앞이 갑자기 컴컴해지면서 어지러워 쓰러지는 경험을 해보셨을 텐데요. 미주신경성 실신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미주신경성 실신이란 무엇인지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주신경성 실신이란


미주신경성 실신은 일상생활 중 갑자기 자율신경계에 불균형이 생기면서 심박수가 느려지고 혈압이 떨어져 정신을 잃고 쓰러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증상은 남성의 3% 여성의 3.5%가 경험하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증상을 한번 경험하고 나면 다시 쓰러질지도 모른다는 생각과 그대로 쓰러져 사망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크게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아래에서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미주신경성 실신 원인

 

심장신경성 실신(미주신경성 실신, 혈관미주신경성 실신)

가장 흔한 원인이며 일시적으로 자율신경계가 불균형 상태가 되면서 발생합니다. 밀폐되거나 공기가 탁한 곳, 더운 곳에서 오랜 시간 앉아 있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 발생하며 젊은 층에서 많이 일어납니다.

 

과도한 스트레스

과한 스트레스와 흥분 상태가 오랜시간 지속되었을 경우 실신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미주신경성 실신 증상


낮은 심박수와 낮은 혈압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앞이 캄캄해지거나 하얗게 되면서 정신을 잃고 바닥에 쓰러집니다. 

 

보통 오랜시간 앉아 있다가 일어나면서 또는 자세를 바꾸면서 자주 발생하며, 전조 증상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전조 증상으로는 얼굴이 창백해 지거나 가슴이 답답해지면서 호흡곤란, 속이 울렁거림, 온몸에 힘이 없고 식은땀이 나고,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미주신경성 실신 치료


대부분 이 증상은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스레 회복되므로 따로 치료법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반복적으로 실신이 일어난다면, 원인을 미리 파악하여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또한 위에서 말한 전조증상이 느껴진다면, 즉시 편안하게 앉거나 바닥에 누워 있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양 손바닥을 마주한 채로 꽉 누르거나, 주먹을 쥐고 팔다리에 힘을 주기, 다리를 꼬는 자세도 도움이 됩니다.

 

여러가지 방법으로도 미주신경성 실신을 반복적으로 겪거나 피하기 어렵다면 전문의를 방문하여 진단을 받고 약으로 치료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